Category

Flutter

[Flutter] StatelessWidget과 StatefulWidget의 차이점 정리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개인이 학습하고, 개념을 기록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므로 100%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혹여나 잘못된 지식이 전달되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결론 StatelessWidget은 변하지 않는 UI로 정적인 정보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상태 변경이 없는 정적인 UI 요소를 그려낼 때 사용된다. StatefulWidget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UI로 상태가 변할 때마다 UI를 다시 그릴 때 사용된다. 상태 변경이 필요한 동적인 UI 요소를 그려낼 때 사용된다. StatelessWidget란? 상태를 갖지 않는 위젯을 의미한다. 웹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화면을 구성하는 정적인 html, css와 같은 개념에 가깝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Statele..

리뷰

[리뷰 - 독서]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Don't Make Me Think) 독서 후기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오늘 리뷰 포스팅을 진행하는 책은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라는 도서입니다. IT 도서가 아닌 웹과 모바일의 사용성을 원칙으로 디자인을 돕는 UX insight 도서를 읽게 됐습니다. 이 도서는 2014년에 발매된 도서인데 2023년인 지금 책이 출판된지 9년이 지난 시점이고, 곧 10년이 되는 책을 우연찮게 선물 받아서 접하게 됐습니다. 개발자로 살아가면서 다른 분야의 책들을 읽으면 얼마나 읽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현재는 본인이 하고자 하는 꿈이 있고, 그것을 개발하고 있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보니. 단순 기능을 위한 개발이 아닌. 사용자가 느끼는 UX 또는 UI에 관한 인사이트를 충분히 얻는 것은 도움이 될 것같다 생각됐습니다.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마! 책은 무엇일..

Study 📔

[Study] 프로덕트(Product) 프레임워크(Framework) 선정 과정과 데이터베이스(Database) 선택 이유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에는 현재 제작 중인 프로덕트의 프레임워크 선정 과정과 이유에 대해 작성해 보려 합니다. 이 포스팅은 주관적인 판단으로 선정했던 과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피드백 사항이나, 의견이 있다면 언제든지 지식을 공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내 서비스는 어떤 서비스? 하나의 프로덕트 서비스를 구축하려면 적절한 언어, 프레임워크,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개발 프로세스 등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 하나의 서비스 프로덕트의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CEO, 디자이너, 프런트엔드 개발자, 백엔드 개발자, 마케팅, 인공지능 개발자 등 다양한 분야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 프런트와 백엔드에 상관없이 개발자로 묶어서 개발자의 역할은 올바른 개발 방향성을 추구하여 프로젝트에 필요한 요..

Flutter

[Flutter] 플러터 핫 리로드(Hot Reload)와 핫 리스타트(Hot Restart) 정리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Flutter를 접하면 자주 활용하게 되는 개념인 핫 리로드와 핫리스타트에 대해 정리하는 포스팅을 진행해 보려 합니다. 개인이 학습하고, 개념을 기록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므로 공식문서와 같이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혹여나 잘못된 지식이 전달되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핫 리로드(Hot Reload)란? 기본 정의 : 핫 리로드는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즉시 앱에 반영하되, 앱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즉, 변수의 현재 값, 위젯 트리의 상태 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UI 변경 사항 또는 로직 변경 사항만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작동 원리 : Flutter는 Dart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 Dart는 JIT(Just-I..

일상

[일상] 7월 1일 ~ 8월 11일까지의 회고록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7월 이내에 회고록을 작성하고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는데 작성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바쁜 한 달을 보내서 조금 숨 돌릴 시간이 났을 때 회고하고, 기록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 카테고리로 나눈다면 크게 2개의 카테고리로 나눌 수 있는데 개인의 성장과 회사의 성장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의 성장 지난 회고록들과는 다르게 개인과 회사를 구분 지을 수 있을 것 같다 생각하여 각각에 영향을 줬다 생각되는 부분을 구분 짓고 작성하게 됐다. 부족한 내용이 많을 수 있지만 스스로는 멈추지 않고, 꾸준히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글을 작성한다. 헬스장 등록 2023년 7월 1일 기념으로 태어나서 처음으로 헬스장 이용권을 등록했다. 이유 먼저 요약하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

Flutter

[Flutter] Dart 언어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플러터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인 Dart에 대하여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혹여나 올바르지 못한 지식 전달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피드백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개발 환경 windows 10 그리고 DartPad를 활용해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https://dartpad.dev/? DartPad dartpad.dev 기본 Dart 언어 시작하기 Dart 언어의 경우 기존 프로그래밍에서 많은 구문을 차용한 것 같다. C와 Java에서는 기본 문법 구조와 명령어, 클래스 기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식등 다양한 패턴의 뼈대를 가져왔다. Python의 print("hello")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값을 출력한다. 이후 포스팅에서 다뤄지겠지만 Null-sa..

일상

[일상] 6월 회고록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2023년 6월을 마무리하며, 6월 한 달을 무사히 보낸 일상에 대해 회고록을 작성하려 합니다. 이번 6월 회고록은 크게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눠 작성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발 공부 5월에는 하루에 1~2개씩 작성했던 사람이 갑자기 6월은 거의 올리지 않아서 공부를 하지 않았을까? 싶지만 여전히 개발 공부를 꾸준히 하고 있었다. 바로 코딩 문제 해결을 위한 기간을 가지고 있었다. 깃허브 잔디를 채우기 위해 의미 없는 커밋보단 의미 있는 커밋을 남기는 것이 중요한 것은 너무나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래서 평소보다 조금 더 생각해 볼 여유가 있는 지금 생각해 보니. 문제 해결 능력 부족이라는 단점을 발견했고, 그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6월에 들어가는 커밋은 문제를 ..

Java ☕/Java

[Java]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ISP)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SOLID의 4 번째 원칙. ISP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합니다. 혹여나 올바르지 못한 지식 전달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피드백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ISP)이란?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은 '클라이언트가 사용하지 않을 불편한 메서드를 강제적으로 구현하게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이다. 즉, 클라이언트는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에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는 얘기이다. 조금 더 설명하면 A, B, C라는 메뉴가 있다. 고객은 A 음식만 원하는데 A를 먹기 위해서는 B와 C를 반드시 먹어야 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얘기할 수 있다. 메뉴판에 있는 A, B, C에서 ..

SeongJo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