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요즘 주력 외주 개발로 사용하고 있는 플러터에서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해 스터디를 통해 한 번 정리했는데 해당 내용들을 오랜만에 블로그 포스팅으로 다뤄보려 해요! 사실 공식 문서 보고 학습하면서 정리했던 내용이지만, 참조 자료로 보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보며, 화면이 깨질 수 있으므로 pdf 파일로 정리해 둔 내용은 최하단에 업로드 해놓겠습니다!🎯 1. Bloc 상태 관리란?Bloc은 Business Logic Component의 줄임말로, Flutter 앱에서 UI와 비즈니스 로직을 명확하게 분리하여 관리하는 상태 관리 패턴이다.들어가기 전 기본 숙지되어야 하는 개념동기 (Synchronous)작업이 호출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이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이 블..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개인이 학습하고, 개념을 기록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므로 100%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혹여나 잘못된 지식이 전달되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결론 StatelessWidget은 변하지 않는 UI로 정적인 정보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상태 변경이 없는 정적인 UI 요소를 그려낼 때 사용된다. StatefulWidget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UI로 상태가 변할 때마다 UI를 다시 그릴 때 사용된다. 상태 변경이 필요한 동적인 UI 요소를 그려낼 때 사용된다. StatelessWidget란? 상태를 갖지 않는 위젯을 의미한다. 웹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화면을 구성하는 정적인 html, css와 같은 개념에 가깝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Statele..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Flutter를 접하면 자주 활용하게 되는 개념인 핫 리로드와 핫리스타트에 대해 정리하는 포스팅을 진행해 보려 합니다. 개인이 학습하고, 개념을 기록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므로 공식문서와 같이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 아닙니다. 혹여나 잘못된 지식이 전달되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핫 리로드(Hot Reload)란? 기본 정의 : 핫 리로드는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즉시 앱에 반영하되, 앱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즉, 변수의 현재 값, 위젯 트리의 상태 등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UI 변경 사항 또는 로직 변경 사항만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작동 원리 : Flutter는 Dart 언어를 사용하는데 이 Dart는 JIT(Just-I..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플러터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인 Dart에 대하여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혹여나 올바르지 못한 지식 전달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피드백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개발 환경 windows 10 그리고 DartPad를 활용해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https://dartpad.dev/? DartPad dartpad.dev 기본 Dart 언어 시작하기 Dart 언어의 경우 기존 프로그래밍에서 많은 구문을 차용한 것 같다. C와 Java에서는 기본 문법 구조와 명령어, 클래스 기반의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방식등 다양한 패턴의 뼈대를 가져왔다. Python의 print("hello")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값을 출력한다. 이후 포스팅에서 다뤄지겠지만 Null-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