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푼 문제이므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풀하고 직접 타이핑해서 작성해서 오타가 날 수 있으며, 답이 아니라고 판단되실 때
문제 되는 부분과 오탈자 부분을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01.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물리적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이해한 구조다. 레코드의 구조, 레코드를 구성하는 필드 크기,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인덱스를 이용한 레코드의 접근 경로 등과 같이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을 정의한다. |
①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②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③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④ 슈퍼 스키마(super schema)
[ 정답 : 3번] - 물리적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즉 하드웨어적인 부분은 내부 스키마 부분이다.
62페이지를 참조하면 외부, 개념의 경우 사용자 레벨(소프트웨어)에 가까우며, 내부 단계의 경우 하드웨어에 가까운 개념이 된다.
02.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다음 설명과 관련 있는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 관점에서 이해한 구조다. 각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며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
①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②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③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④ 슈퍼 스키마(super schema)
[ 정답 : 1번] - 외부 스키마에 대한 설명이다.
03.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사용자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②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③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본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다.
④ 여러 개가 존재할 수 있다.
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 간의 관계와 제약조건을 정의한다.
⑥ 접근 권한, 보안 정책을 정의한다.
⑦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정의한다.
⑧ 서브 스키마(sub schema)라고도 한다.
[ 정답 ] - 개념 스키마에 대한 설명은 2, 5, 6 이다.
04. 데이터 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데이터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타 데이터라고 한다.
②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③ 사용자가 데이터 사전에 내용을 직접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④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없다.
[ 정답 : 4번 ] - 일반 사용자는 내용을 검색할 수 있다. 검색은 가능하지만 수정은 불가능하다.
05.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의 주요 업무와 거리가 먼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정의
② 보안 및 접근 권한 정책 결정
③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④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제약조건 정의
[ 정답 : 3번 ] - 관리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는 않는다.
06. 사용자가 데이터의 삽입·삭제·수정·검색 등의 처리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테멩 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는?
① 데이터 정의어(DDL)
② 데이터 조작어(DML)
③ 데이터 제어어(DCL)
④ 데이터 요청어(DRL)
[ 정답 : 2번 ] - 삽입, 삭제, 수정, 검색 등의 처리를 사용하기 위한 데이터 언어는 조작어 이다.
07. 데이터 제어어(DCL)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무결성 유지
② 회복 및 동시 공유 제어
③ 접근 제어 및 권한 부여
④ 스키마 정의
[ 정답 : 4번 ] - 제어어 에서 정의를 하지는 않는다.
08. 다음 설명에서 ⓐ와 ⓑ가 각각 무엇인지 답하시오.
( ⓐ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이다. 그리고 ( ⓐ )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을 ( ⓑ )라고 한다. |
[ 정답 ]
a - 스키마
b - 인스턴스
09. 다음 설명에서 ⓐ가 무엇인지 답하시오.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 ⓐ )는 개념 스키마와 내부 스키마의 대응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저장 인터페이스라고도 한다. |
[ 정답 ]
개념/내부 사상 (67페이지 참조)
10. 다음 설명에서 ⓐ와 ⓑ가 각각 무엇인지 답하시오.
( ⓐ )는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을 의미한다.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는 두 가지 유형으로 존재한다. 이 중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 ⓑ )라고 한다. |
[ 정답 ]
a - 데이터 독립성
b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11. 다음 설명에서 ⓐ와 ⓑ가 각각 무엇인지 답하시오.
( ⓐ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 스키마, 매핑 정보, 다양한 제약 조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 ⓐ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실제로 접근하는 데 필요한 위치 정보는 ( ⓑ )에서 관리한다. |
[ 정답 ]
a - 데이터 사전
b - 데이터 디렉토리
12. 다음 설명에서 ⓐ와 ⓑ가 각각 무엇인지 답하시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내부적으로 사용자의 데이터 처리 요구를 해석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 ⓐ )와,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 사전을 관리하고 접근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 ⓑ )로 구성되어 있다. |
[ 정답 ]
a - 질의 처리기
b - 저장 데이터 관리자
13.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정답 ]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해주는 시스템이다.
(60, 78page 참조)
14.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다섯 가지를 설명하시오.
[ 정답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들의 집합체인 데이터베이스,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는사용자,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설치하고 데이터 처리 연산을 담당하는 컴퓨터로 5가지 요소가 구성된다.
(60, 76page 참조)
15. 데이터 독립성의 의미를 설명하고,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데이터 독립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 정답 ]
데이터 독립성의 설명
데이터베이스는 3가지 스키마가 존재하는데 이 3가지 스키마의 순서에 상관없이 상위 또는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입니다.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에서 데이터 독립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구조의 독립성이 무엇이 존재하는지 부터 알아야 하며, 구조에는 외부 단계와 개념 단계를 오가는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과 개념 단계와 내부 단계를 오가는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이 존재합니다.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외부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개념 사상의 정보만 적절히 수정해주면 직접 관련이 없는 외부 스키마들을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면 소비자가 외부 단계옷을 판매하는 회사가 개념 단계라면 A소비자가 이사를 가서 집 주소가 변경된 경우 외부 단계의 소비자가 배송지 주소만 제대로 입력하면, 개념 단계의 회사가 스키마 끼리의 대응 관계 사상으로 정보를 받기 때문에 독립적이다 말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은 내부 스키마가 변경되더라도 개념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입니다.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이 실현되면 데이터베이스의 저장 구조가 변경디어도 관련된 개념/내부 사상 정보만 적절히 수정해주면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는 연향을 받지 않습니다.
예로 내부 스키마는 회사의 정보 저장소 개념은 회사 자체가로 들 수 있는데 위에 언급한 설명과 같이 A소비자가 집주소를 변경해도 추가, 삭제가 아닌 이상 사상을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독립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16.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담당하는 주요 업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 정답 ] 9가지가 있다. (70 page 참조)
1 - 데이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요소를 선정
2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정의
3 - 물리적 저장 구조와 접근 방법 결정
4 - 무결성 유지를 위한 제약 조건 정의
5 - 보안 및 접근 권한 정책 결정
6 - 백업 및 회복 기법 정의
7 -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8 - 시스템 성능 감시 및 성능 분석
9 - 데이터베이스 재구성
17. 데이터 언어를 사용 목적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각 설명하시오.
[ 정답 ]
데이터 언어는 정의어(DDL), 조작어(DML), 제어어(DCL)로 세가지로 나눠집니다.
정의어의 목적으로는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기존 스키마의 정의를 삭제 또는수정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조작어의 목적으로는 사용자가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검색 등의 처리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요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 언어입니다.
제어어의 목적으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여러 사용자가 무결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며 문제없이 공유할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필요한 규칙이나 기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언어입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개인 학습용 해설 > 데이터베이스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기출문제 31~62번까지 개인 풀이 (6) | 2020.10.30 |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기출문제 1~30번까지 개인 풀이 (0) | 2020.10.25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2장 기출문제 개인 풀이 (10) | 2020.10.19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2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8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1장 기출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