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푼 문제이므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풀하고 직접 타이핑해서 작성해서 오타가 날 수 있으며, 답이 아니라고 판단되실 때
문제 되는 부분과 오탈자 부분을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01.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이유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
② 데이터의 수시적인 구조 변경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매번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여보고 싶었다.
③ 데이터의 가용성 증가를 위해 중복을 허용하고 싶었다.
④ 물리적 주소가 아닌 데이터 값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고 싶었다.
[ 정답 : 3번]
데이터베이스는 종속성과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 허용이 아니다.
02. 데이터베이스 구성 장점이 아닌 것은?
① 데이터 중복 최소화
② 여러 사용자에 의한 데이터 공유
③ 데이터 간의 종속성 유지
④ 데이터 내용의 일관성 유지
[정답 : 3번] - 종속성 유지가 아닌 종속성 제거가 되는 것이 장점이다.
0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기능과 그에 대한 설명이 옳게 연결된 것은?
가. 데이터베이스 생성 기능 나. 데이터베이스 조작 기능 다. 데이터베이스 정의 기능 |
A. 데이터 자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되는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기능 B. 데이터의 형, 구조,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때의 제약조건 등을 명시하는 기능 C.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데이터 요청, 변경 등을 위한 질의를 수행하는 기능 |
① 가 - A, 나 - B, 다 - C
② 가 - A, 나 - C, 다 - B
③ 가 - C, 나 - A, 다 - B
④ 가 - B, 나 - A, 다 - C
[ 정답 : 2번]
가 -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기능 -> 생성 기능
나 - 요청, 변경 등의 질의를 수행하는 기능 -> 조작 기능
다 - 저장될 때의 제약조건등을 명시하는 기능 -> 정의 기능
04. DBMS의 필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정의 기능(definition facility)
② 관계 기능(relation facility)
③ 제어 기능(control facility)
④ 조작 기능(manipulation facility)
[정답 : 2번] - 3대 필수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0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기본 기능에 속하는 것은?
①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
②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사전 기능
③ 정의 기능, 제어 기능, 처리 기능
④ 정의 기능, 제어 기능, 사전 기능
[ 정답 : 1번] - 위와 같이 3대 기능이 기본 기능이다.
06. DBMS의 필수 기능 중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타입과 구조에 대한 정의, 이용 방식, 제약조건 등을 명시하는 것은?
① Manipulation 기능
② Definition 기능
③ Control 기능
④ Procedure 기능
[정답 : 2번] - 구조에 대한 정의~ 부분이 정의 기능을 뜻한다.
Manipulation - 조작
Definition - 정의
Control - 제어
Procedure - 순서
07. DBMS의 필수 기능 중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작업을 위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은?
① 정의 기능
② 조작 기능
③ 제어 기능
④ 절차 기능
[정답 : 2번] - 검색,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은 조작 기능에서 한다.
08. DBMS의 필수 기능 중 정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은?
①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갱신, 삽입, 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해야 한다.
②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여야 한다.
③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접근하여 처리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처리 결과가 항상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병행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④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계를 명확하게 명세할 수 있어야 하며, 원하는 데이터 연산은 무엇이든 명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4번] - 명확하게 명세할 수 있어야 하며, 부분이 정의를 뜻한다.
1번 - 정확하게 수행되게해야 한다. 부분이 제어 기능의 무결성을 의미하며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2,3번 또한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이다.
09. DBMS의 필수 기능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기능은?
① Definition 기능
② Control 기능
③ Manipulation 기능
④ Strategy 기능
[정답 : 3번] -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 -> Manipulation - 조작
10.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② 갱신, 삽입, 삭제 등의 연산
③ 보안 유지와 권한 검사
④ 정확성 유지를 위한 병행 제어
[ 정답 : 2번 ] - 2번 연산의 경우 조작 기능에 해당한다.
11. DBMS의 제어 기능이 갖추어야 할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계를 명확하게 명세할 수 있어야 하며, 원하는 데이터 연산은 무엇이든 명세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갱신, 삽입, 삭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게 해야 한다.
③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여야 한다.
④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접근하여 처리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처리 결과가 항상 정확성을 유지하도록 병행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 정답 : 1번] - 1번은 정의에 대한 설명이다.
2번의 경우 연산이 아닌 정확성을 따지는 것이 제어 기능의 요건이다.
12. DBMS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종속성과 중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시스템이다.
②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하고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한다.
③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중재자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④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접근 방법, 관리 유지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있다.
[ 정답 : 2번] -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은 스키마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다.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와 제약 조건을 정의한 것이다.
ex)
a(이름) | b(주소) | c(전화번호) |
1 | 3 | 5 |
2 | 4 | 6 |
a 공간, b 공간, c 공간에 데이터 값들을 정리한다.
a, b, c가 데이터를 묶음으로 대표하는 명칭 즉 스키마가 된다.
13. 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료의 중복 정도는 파일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보다 높다.
② 파일 시스템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종속적인 반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종속적이지 않다.
③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정보가 중앙 집중화되고 원격지의 사용자들에게 접근이 허용되면 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
④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회복 처리기, 트랜잭션 처리기 등의 오버헤드로 인해 다수의 사용자를 지원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gamzachips님의 지식 공유를 통해서 포스팅이 추가 수정됐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정답 : 3번] - 중앙 집중화는 최종적으로 보안이 향상되기 때문에 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닌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즉, 올바르지 않은 설명은 3번이 된다.
14.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여 DBMS가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하여 관리하므로 중복성과 불일치가 감소된다.
②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분리해 데이터 변경으로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종속성이 감소된다.
③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시성 제어 기법을 제공하므로 파일 시스템에 비해 응답 시간이 단축된다.
④ 데이터 접근 시 시스템이 고장 나도 이전의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 정답 : 3번 ] - 일관성을 유지해서 응답 시간이 단축되는 보장은 없다.
(다른 풀이) 1,2,4번이 맞는 표현이므로 3번이 오답임을 고르는 방법도 있다.
15. DBMS를 사용하는 것이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적합한 경우는?
① 데이터와 응용이 단순하고 변경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경우
② 예약 시스템과 같이 최신 정보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해야 하는 경우
③ 응용 프로그램의 실시간 요구 사항이 엄격한 경우
④ 내장형 시스템과 같이 저장 용량이 제한된 경우
[ 정답 : 2번] - 말장난이 심한 문제이다. 결국 DBMS의 장점을 고르면 된다. 파일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공유를 못한다. 하지만 DBMS의 경우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공유가 가능하다.
16.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어떤 테이블이다. 파일 처리 방식과 대비해서 이 같은 테이블을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방식의 주요 특성으로 옳은 것은?
Table Name | No of Columns |
STUDENT | 4 |
··· | ··· |
Column Name | Data Type | Table Name |
StudentNumber | Character(4) | STUDENT |
··· | ··· | ··· |
① 데이터 구조가 변경되면 프로그램도 수정해야 하는 성질
② 데이터 중복이 증가해도 일관성을 유지하는 성질
③ 데이터 정의가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로 표현되는 성질
④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스스로 기술하는 성질
[ 정답 : 4번 ]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스스로 값을 기술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직접 하나하나 값을 넣어줘야 한다. 즉 형식을 지정하는 성질이 있어야 한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개인 학습용 해설 > 데이터베이스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기출문제 1~30번까지 개인 풀이 (0) | 2020.10.25 |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2) | 2020.10.20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2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8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1장 기출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7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1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