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인 풀이이므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01. 다음이 설명하는 파일 시스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응용 프로그램이 파일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므로 파일의 데이터 구성 방법이나 물리적인 저장 구조에 맞게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해야 하고, 파일의 구조가 변경되면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 |
① 데이터 중복성
② 데이터 변경성
③ 데이터 독립성
④ 데이터 종속성
[ 정답 : 4번]
구조가 변경되면 응용 프로그램도 함께 변경해야 한다.라는 내용이 데이터 종속성을 의미한다.
종속적이란? 어떤 딸려 붙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로 A와 B가 있고, A가 변경되면 B도 A를 따라서 변경된다. 라는 문구는 B는 A에 종속적임을 의미합니다.
0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정의 기능
② 조작 기능
③ 제어 기능
④ 절차 기능
[ 정답 : 4번] - 정의, 조작, 제어 기능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다.
03. 다음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사용자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삽입·삭제·수정·검색 연산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
① 정의 기능
② 조작 기능
③ 제어 기능
④ 연산 기능
[정답 : 2번] - 조작 기능에 관한 설명이다.
04.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인 제어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산을 수행한 후에도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한다.
②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동시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③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한다.
④ 정당한 사용자가 허가된 데이터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한다.
[정답 : 3번] - 3번은 제어 기능에 대한 내용이 아닌 정의 기능에 대한 내용이다.
0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장점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 데이터 중복을 통제할 수 있다.
② 데이터 보안이 향상된다.
③ 백업과 회복 방법이 간단하다.
④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 정답 : 3번]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백업과 회복 기법이 복잡하다.
06.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단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표준화가 어렵다.
②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비용이 많이 든다.
③ 데이터 독립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④ 백업과 회복 기법이 복잡하다.
[정답 : 4번] - 위의 내용처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단점의 경우 백업과 회복 기법이 복잡하다.
07.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유형은?
데이터베이스를 노드와 간선을 이용한 그래프 형태로 구성하는 데이터 모델을 사용한다.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복잡하고 변경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② 계층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③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④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 정답 : 1번] - 노드와 간선을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08. 다음은 어떤 유형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는가?
오라클, MS SQL 서버, 액세스, 인포믹스, MySQL |
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② 계층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③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④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정답 : 3번] - 설명의 회사들은 2세대 - 관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대표적 회사이다.
09. 데이터를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파일을 생성·삭제·수정·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운영체제와 함께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인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이라 한다.
10. 파일 시스템의 문제를 설명하시오.
특징 4가지가 존재하고 단점을 옆에 덧 붙이면
1.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여러 파일에 중복 저장된다. - 저장 공간의 낭비가 존재하고 일관성(data consistency)과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2.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 A를 변경하면 B도 모두 변경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양이 적을 때는 미미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확 늘어나는 경우 변경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방대하게 늘어난다.
3.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 보안, 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 같은 내용의 파일을 여러개를 만들어 공유할 수 있으나 내용이 중복되는 것이 큰 손실이다. 중복된 데이터중에는 보안 수준이 나눠질텐데 같은 수준의 보안을 부여하고 유지하기도 어렵다.
4.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쉽지 않다 - 비용이 많이든다.
1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중복과 데이터 종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소프트웨어이다.
1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설명하시오.
3가지 기능은 정의 기능, 조작 기능, 제어 기능이 있으며, 정의는 말 그대로 구조를 정의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조작 기능의 경우 데이터 삽입, 삭제, 수정, 검색하는 연산을 할 수 있다. 제어 기능은 데이터를 항상 정확하고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1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얻게 되는 장점을 설명하시오.
파일 시스템에 비해서 8가지 장점이 있다.
1. 데이터 중복을 통제할 수 있다.
2. 데이터 독립성이 확보된다.
3. 데이터를 동시 공유할 수 있다.
4. 데이터 보안이 향상된다.
5.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6. 표준화할 수 있다.
7. 장애 발생 시 회복이 가능하다.
8. 응용 프로그램 개발 비용이 줄어든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개인 학습용 해설 > 데이터베이스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기출문제 1~30번까지 개인 풀이 (0) | 2020.10.25 |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3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2) | 2020.10.20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2장 기출문제 개인 풀이 (10) | 2020.10.19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1장 기출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7 |
[데이터베이스 개론] 2판 1장 연습문제 개인 풀이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