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자입니다.
2장부터 객관식/주관식 따로따로 학습해서 업로드할 예정입니다.
직접 책 보면서 풀어보느라 오타가 많이 있을 수 있으므로 확인되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2023.04.21
게시물에 올바르지 못한 내용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댓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01.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의 초기화로기능
2.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할당 기능
3. 고급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기능
4. 오류 검사 및 복구 기능
정답 – 3번
3번의 경우 컴퍼일러의 기능이다.
나머지 1,2,4의 경우 운영체제의 기능이다.
02. 운영체제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2. 주변장치 관리
3. 데이터 압축 및 복원
4. 신뢰성 향상
정답 – 3번
요즘에는 운영체제로 자체 포맷이 가능하지만
운영체제의 원래 설계 목적과는 거리가 멀다.
먼 것으로는 데이터 압축 및 복원이다.
03. 운영체제의 성능 판단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 능력
2. 비용
3. 신뢰도
4. 사용 가능도
정답 – 2번
비용은 가성비의 차이지 성능의 판단 요소는 아니다.
04. 운영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 동작하는 일종의 하드웨어 장치이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3.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요소에는 처리 능력, 반환시간, 사용 가능도, 신뢰도 등이 있다.
4. 운영체제는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 파일 등을 관리한다.
정답 – 1번
운영체제는 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이다.
효율적으로 장치들을 관리하고 평가 요소 등 나머지 답변은 다 맞는 말이다.
05. 운영체제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스템의 오류 검사 및 복구
2.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 제공
3.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 생성
4. 자원 보호 기능 제공
정답 – 3번
3번의 경우 원시 프로그램에 대한 토큰을 생성 하는 건 언어 번역 프로그램과 연관 있다.
06. 운영체제의 운용 방법 중 시분할 체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괄 처리 형태에서 사용자 대기시간을 줄이는 대화식 처리 형태이다.
2. 여러 사용자가 프로세서를 공유하고 있지만, 마치 자신만이 독점하여 사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2. 좋은 응답시간을 제공하려고 각 사용자에게 일정 프로세서 시간만큼 차례로 할당하는 SJF 스케줄링을 사용한다.
4. 단위 작업 시간을 time slice라고 한다.
정답 – 3번
2장의 내용이 아닌 듯하지만 SJF 스케줄링은 최소 작업 우선 스케줄링으로 가장 짧은 작업을 우선 할당하는 방법이라서 대화식 프로그램에는 적합하지 않다 FCFS, First Come First Served 스케줄링 알고리즘의 경우 큐의 형태로 먼저 들어온 값을 먼저 출력하기 때문에 시분할 시스템 같은 대화형이 적합한 프시스템은 선입선처리(FCFS) 스케줄링이 좋다.
07. 컴퓨터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스풀링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작업의 입출력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2. 스풀 공간으로 주기억장치의 일부를 사용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다.
3. 제한된 수의 입출력장치만 사용하여 입출력 작업의 지연을 방지한다.
4. 저속의 입출력장치에서 읽어 온 자료를 우선 중간의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정답 – 2번
스풀링은 속도가 빠른 디스크를 버퍼처럼 사용하여 입출력장치에서 미리 읽어 오는 것이므로 주기억장치와는 상관이 없다. CPU -> 입출력장치, CPU<-입출력장치의 원리이다.
버퍼 공간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에 임시 저장된다고 알고 있다.
08. 운영체제의 목적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컴퓨터 시스템 내의 한정된 각종 자원을 여러 사용자가 요구할 때, 어느 정도 신속하고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이다.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자원의 수나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 등 요소가 좌우하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시스템 자원 수가 많을 때 높아질 수 있다. |
1. reliability
2. throughput
3. turn around time
4. availability
답 - 4번
1) 신뢰도
2) 처리량
3) 반환 시간(응답 시간)
4) 가용성 -> 사용가능도
(참조)
http://wiki.hash.kr/index.php/%EA%B0%80%EC%9A%A9%EC%84%B1
가용성 - 해시넷
가용성(Availability)이란 물질이 용매에 잘 녹는 성질이라는 뜻이다. 정보기술에서는 서버 및 네트워크 등의 시스템이 장애 없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가용성은 가
wiki.hash.kr
익명 댓글 ㅇㅇㅇ님의 얘기를 듣고, 다시 풀었습니다!
지식 전달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었는데 댓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해설 :
1.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도이다.
2. 하드웨어 자원과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가 좌우된다.
위 2가지 사항을 봤을 때. 신뢰도, 처리량과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반환 시간 즉, 응답 시간의 경우 같은 지원되는 것의 조건이 부적합하다.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가용성. 운영체제에서 즉, 접속 관련한 정보를 다루는 것이므로, 정도를 의미하는 지문은 4번 가용성을 의미하게 된다.
09. 운영체제의 운영 방법 중 ‘Quantum’과 관계되는 것은?
1. real time processing system
2. batch processing system
3. time sharing system
4.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정답 - 3번
1-실시간 처리 시스템
2-배치 처리 시스템(?) - 이건 잘 모르겠습니다..
3-시간 공유 시스템-시분할 시스템
4-분산 처리 시스템
중에 Quantum와 관계되는 것은? Quantum = 규정 시간량이다.
규정 시간량의 경우 시분할 시스템의 실행 형식이다.
10. 운영체제의 운영 방법 중 동시에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2개 이상 두고, 각각 그 업무를 분담하여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1. multiprocessing system
2. time sharing system
3. real time system
4. multiprogramming system
답 - 1번
1번 다중 처리 시스템이다. 다중 처리 시스템의 정의로는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동시에 둘 이상의 프로세스(프로그램)를 지원하는 것이 정의이다. 그러므로 위의 설명은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이 정답이 된다.
11. 프로그램이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속도와 프린터 등에서 결과를 처리하는 속도의 차이를 극복하려고 디스크 저장 공간을 사용하는 방법은?
1. 링킹
2. 사이클 스틸링
3. 스풀링
4. 페이징
정답 - 3번
스풀링, 캐시의 경우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스풀링은 속도가 빠른 디스크를 버퍼처럼 사용하여 그 공간에 입출력장치의 데이터를 미리 읽고 저장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므로 스풀링이 정답이 된다.
12. 시스템 성능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신뢰도
2. 처리 능력
3. 응답시간
4. 프로그램 크기
정답 -4번
프로그램의 크기는 시스템 성능의 요인과는 관련이 없다.
크기의 경우 하드와의 연관이지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의 시스템 성능 요소와는 관련 없다.
13.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2.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3.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 및 자원의 공유 기능을 제공한다.
4. 2개 이상의 목적 프로그램을 합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든다.
정답 - 4
4번 2개 이상의 목적 프로그램을 합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다른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경우에나 가능하다.
1 - 스케줄링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운영체제이다.
3 -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 및 공유해 준다.
14. 프로세서와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를 줄이는 데 사용하는 방법은?
1. 기억장치 보호
2. 기억장치 상호 배치
3. 버퍼링
4. 폴링
정답 - 3번
위에서 계속 언급한 것과 같이 속도 차이를 줄이는 프로세서 -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버퍼링이다.
15. 하나의 프로세서는 같은 시점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세서의 전체 사용 기간을 작업 단위 작업 시간으로 나눠 그 시간 동안만 번갈아 가면서 프로세서를 할당하여 각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은?
1. 실시간 처리 시스템
2. 시분할 시스템
3. 다중 처리 시스템
4. 일괄 처리 시스템
정답 - 2번
시간으로 나눠 그 시간 동안만 번갈아 가면서 프로세서를 할당하는 방법은 시분할 시스템이다.
실시간은 데이터가 오는 그대로 처리된다.
다중 처리 시스템은 위에 설명했다.
일괄 처리는 일정 시간 데이터를 모아서 한 번에 처리하는 시스템 방식이다.
16. 운영체제의 발달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ㄱ - 일괄 처리 시스템 ㄴ - 분산 처리 시스템 ㄷ - 다중 모드 시스템 ㄹ - 시분할 시스템 |
1. ㄱ-ㄹ-ㄷ-ㄴ
2. ㄷ-ㄴ-ㄹ-ㄱ
3. ㄱ-ㄷ-ㄹ-ㄴ
4. ㄷ-ㄹ-ㄴ-ㄱ
정답 - 1번이다.
ㄱ - 1950년대, ㄴ - 1970년대 중반, ㄷ - 1970년대 초반, ㄹ - 1960년대이다.
17. 운영체제의 목적 중 다음 사항과 가장 관계있는 것은?
· 시스템이 정확하게 작동하는 정도 · 하드웨어적인 오류의 자체 회복 재시도 · 소프트웨어의 오류에 대한 상세한 메시지 제공 · 상호 조회 시스템 구성 |
1. 처리능력 증대
2. 응답시간 단축
3. 신뢰도 향상
4. 사용 가능도 증대
정답 - 3번
처리 능력은 상세한 메시지 제공이 필요가 없다. 응답시간 단축 또한 상관없다.
사용 가능도에 상호 조회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는 없다. 조회만 하면 된다.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유로 상호 조회를 통하여 양방향 소통, 상세한 메시지로 무엇이 잘못된 내용인지 인지, 정확하게 작동하는 정도를 확인
18. 운영체제의 성능 평가 기준 중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throughput
2. reliability
3. turn around time
4. availability
정답- 2번
정확한 문제를 해결한 것은 신뢰도로 알 수 있게 된다.
1- 처리량
2-신뢰도
3-처리 시간
4- 유효성
19. 몇 개의 작업을 동시에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실행하는 처리 방법은?
1. 일괄 처리
2. 다중 프로그래밍
3. 대화식 처리
4. 온라인 처리
정답 - 2번
몇 개의 작업을 '동시에'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실행하는 처리 방법은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20. 운영체제의 목적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컴퓨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2. 자원 스케줄링 및 효율적 운영
3. 신뢰도 향상 및 반환시간 증가
4. 주변장치 관리
정답 - 3번
신뢰도 향상은 맞지만 반환시간은 감소해야 좋으며 목적이 된다.
21. 스풀링과 버퍼링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버퍼링은 디스크를 큰 버퍼처럼 사용한다.
2. 버퍼링은 프로세서의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지향하려고 도입했다.
3. 스풀링은 여러 작업에서 입출력과 계산을 동시에 수행한다.
4. 스풀링은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다음에 수행할 작업의 선택과 관련ㄴ된 스케줄링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 - 1번
버퍼링 - 프로세서와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로 생긴 유휴시간이 없도록 입출력장치별로 입출력 버퍼를 두어, 프로세서에서 연산을 할 때 동시에 다른 작업을 입출력하는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스풀링 - 속도가 빠른 디스크를 버퍼처럼 사용하여 입출력장치에서 미리 읽는 것이다.
버퍼링은 큰 버퍼처럼 사용하지 않는다.
22.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 사용자와 다중 응용 프로그램 환경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자원을 분배하는 스테줄링을 담당한다.
2. 프로세서, 메모리 공간,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 자원을 관리한다.
3. 운영체제의 종류로는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 등이 있다.
4. 입출력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제어한다.
정답 - 3번
운영체제의 종류에 매크로 프로세서, 어셈블러, 컴파일러는 운영체제 종류에 절.대.안.들.어.간.다.
23. 운영체제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사용자의 편리한 환경 제공
2. 처리 능력 및 신뢰도 향상
3.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최적화
4. 언어 번역 및 자원의 효율적 사용
정답 - 4번
자원의 효율적 사용은 맞으나 언어 번역은 운영체제 담당이 아니다.
언어 번역은 구글 번역기나 네이버 번역기를 사용하자
24. 다음은 운영체제가 해결할 문제점이다. 이런 문제점이 발생한 직접적인 원인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 교착 상태 예방, 회피, 발견, 회복 등 처리 문제 - 프로세서와 자원의 할당 문제 - 메모리 관리 문제 - 병행성 제어 문제 - 공존하는 프로그램 간의 충동 해결 문제 |
1. 메모리 및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2.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3.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 이용
4. 프로세서 처리 속도 및 입출력장치의 속도 차이
정답 - 3번
병행 제어, 메모리 관리는 다중 프로그래밍의 장점 of 장점이다. 나머지 설명도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장점이다.
25. 한정된 시간 제약 조건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비행기 제어 시스템이나 교통 제어 시스템에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1. 분산 처리 시스템
2. 일괄 처리 시스템
3. 실시간 시스템
4. 병렬 처리 시스템
정답 - 3번
ㅠㅜ 기말 시험에 유사하게 나왔다.
비행기 제어 시스템이나 교통 제어 시스템에 실시간 시스템이 적합하다...
무적권 실시간 시스템이 적합하다...
26. 일괄 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적절한 작업 제어 언어를 제공 한다.
3. 실행 결과를 즉시 받아 볼 수 있어 응답시간이 짧다.
4. 비슷한 성격의 작업을 한꺼번에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정답 -3번
일괄 처리 시스템은 위에도 설명했지만 데이터를 일정 시간동안 모아서 한번에 처리하는 것이 일괄 처리 시스템이다.
27. 운영체제를 바르게 설명한 것끼리 나열한 것은?
ㄱ - 사용자와 시스템 간에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ㄴ - 자원의 효과적 관리 및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ㄷ -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한다. ㄹ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
1. ㄱ, ㄹ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3번
ㄱ - 제공한다.
ㄴ - 스케줄링해서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ㄷ - 오류를 검사하고 복구한다. 오류가 복구가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복구한다.
X ㄹ -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목적 프로그램은 운영체제가 생성하는게 아니다.
28. 운영체제의 운용 방법 중 시분할 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프로세서를 여러 작업이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사용함으로써 각 작업은 프로세서를 공유한다.
2. round-robin 방법이라고도 한다.
3. 다중 프로그래밍 방법과 결합하여 마치 모든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처럼 대화식 처리가 가능하다.
4.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려고 작업량이 일정 수준이 될 때까지 모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처리한다.
정답 - 4번
4번은 일괄 처리 시스템이다.
29. 운영체제의 수행 기능을 모두 나열한 것은?
ㄱ - 목적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로드 모듈을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을 만든다. ㄴ - 사용자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ㄷ - 사용자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ㄹ - 자원의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한다. |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3번
ㄱ- 운영체제는 위에서 계속 언급했지만 특정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나머지는 다 맞는 말이다.
30.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과 시분할 처리 시스템은 모두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적절한 설명은
1. 다중 프로그래밍은 실행 시간이 짧은 작업에 유리하고, 시분할 처리는 실행 시간이 긴 작업에 유리하다.
2. 다중 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처리는 모두 일정하게 나눈 시간만큼 작업에 할당한다.
3. 다중 프로그래밍과 시분할 처리 모두 실행 시간이 긴 작업에 유리하다.
4. 다중 프로그래밍은 처리량의 극대화를 꾀하고, 시분할 처리는 응답시간의 최소화를 꾀한다.
정답 - 4번
처리량을 최대화 응답시간을 최소화 하는 말은 맞는 말이다.
31. 운영체제의 작업 수행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메인 메모리에 적재하고, 이들이 처리장치를 번갈아 사용하며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다중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2. 컴퓨터 한 대를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대화식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처리 속도가 매우 빨라 각 사용자는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처럼 인식하는 시스템을 일괄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3. 프로세서를 둘 이상 설치하여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시스템을 다중 처리 시스템 이라고 한다.
4. 컴퓨터 여러 대가 작업을 나눠처리하고, 그 내용이나 결과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호 교환하도록 연결된 시스템을 분산 처리 시스템이라고 한다.
정답 - 2번
시분할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다.
[댓글로 조금 더 올바른 지식을 공유해 주셔서 수정된 부분입니다!]
32.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운영하는 제어 루틴으로 구성된다.
2. 운영체제 이외의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가 제공한 기능에 의존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에 접근한다.
3. 운영체제는 일종의 시스템 명령어이므로, 사용자는 운영체제와 직접 상호작용할 수 없다.
4.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정답 - 3번
운영체제와 사용자는 직접 바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 피드백 감사드립니다! )
끝으로 직접 타이핑 하면서 책 내용과 비교하여 풀었는데 오타나 오답이 있는 경우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개인 학습용 해설 > 그림으로 배우는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3판 연습문제 5장 객관식 개인 해설 (0) | 2022.04.18 |
---|---|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3판 연습문제 4장 객관식 개인 해설 (3) | 2020.10.17 |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3판 연습문제 3장 객관식 개인해설 (3) | 2020.10.16 |
그림으로 배우는 구조와 원리 운영체제 개정 3판 연습문제 1장 개인해설 (3) | 2020.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