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 포스팅은 Python 3 버전을 기준으로 풀이됐습니다.
이번 문제를 풀이하면서 런타임 에러를 엄청 겪었고, 문제를 읽고 그대로 풀이했는데 생각보다 틀렸던 부분이 많았습니다. 이 문제 덕분에 append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추가하는 것뿐 아니라 insert를 활용하는 방법 insert에는 insert(0, 요소) 또는 insert(len(변수), 요소)처럼 값을 대입할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학습하여 조금 더 Python 언어랑 친해질 수 있던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0845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
- pop: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front: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back: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 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queue = []
for i in range(N):
input_command = sys.stdin.readline().split()
if input_command[0] == "push":
queue.insert(0, input_command[1])
elif input_command[0] == "pop":
if len(queue) != 0:
print(queue.pop())
else:
print(-1)
elif input_command[0] == "size":
print(len(queue))
elif input_command[0] == "empty":
if len(queue) == 0:
print(1)
else:
print(0)
elif input_command[0] == "front":
if len(queue) == 0:
print(-1)
else:
print(queue[len(queue) - 1])
elif input_command[0] == "back":
if len(queue) == 0:
print(-1)
else:
print(queue[0])
풀이
1. 반복할 횟수를 입력받는다. => N
2. 값을 입력받을 리스트를 선언한다. => queue
3. 각 명령어에 맞춰서 조건을 구현하면 된다.
1) push : 값을 push로 입력받게 된다면 insert를 활용하여 요소 값을 리스트의 맨 앞으로 가져온다.
-> pop은 맨 뒤에서 출력하기 때문에 list에 들어온 값은 맨 앞으로 들어와야 한다.
ex) (input) 4, 3, 2, 1 -> [1, 2, 3, 4] (output) -> 4, 3, 2, 1 출력이 돼야 한다.
2) pop : 파이썬에서는 고맙게도 pop() 기능을 지원한다.
if 문 내부에 중첩으로 if-else를 활용하여 0이 아닌 경우에 pop() 을 활용하여 출력한다.
큐 내부의 값이 없는 개수가 0의 경우. -1를 출력한다.
3) size : 리스트에 담았기 때문에 길이가 곧 개수를 의미한다. len으로 풀이.
4) empty : 0개인 경우 1을 반환 아닌 경우 0을 반환하는 코드를 구현한다.
5) front : 값이 없는 경우 0를 출력한다. 1번의 예시처럼 큐 구조의 맨 앞은 리스트의 가장 뒷 번호이므로 길이 -1 값을 출력한다.
6) back : 값이 없는 경우 0를 출력한다. 1번의 예시처럼 큐 구조의 맨 뒤는 리스트의 가장 앞 번호이다.
오타나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얘기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부족한 실력이지만 언제든지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피드백 방향을 주시면 많은 참고 진행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백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11478][Python] 서로 다른 부분 문자열의 개수 (0) | 2023.02.22 |
---|---|
[백준 - 11047][Python] 동전 0 (0) | 2023.02.21 |
[백준 - 1874][Python]스택 수열 (0) | 2023.02.19 |
[백준 - 1302 ][Python] 베스트셀러 (0) | 2023.02.15 |
[백준 - 1676][Python] 팩토리얼 0의 개수 (0) | 2023.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