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Python 3 버전으로 풀이됐습니다.
처음 백준을 접했을 때 너무 어려워 보여서 풀지도 못했던 문제였는데 이제 와서 보니 1+1 하다가 수학 공식 나와서 접근하는 것에 있어서 버벅거렸던 것 같습니다. 꾸준히 풀다 보니 생각보다 접근하기 쉬웠고 어떤 공식을 적용하면 되는지 생각하고 적용했네요.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를 통하여 서로 다른 점인지, 한 점에서 만나는지 아니면 만나지 않는 것인지 확인하고 조건을 줬습니다.
문제 제출
https://www.acmicpc.net/problem/1002
문제
조규현과 백승환은 터렛에 근무하는 직원이다. 하지만 워낙 존재감이 없어서 인구수는 차지하지 않는다. 다음은 조규현과 백승환의 사진이다.
이석원은 조규현과 백승환에게 상대편 마린(류재명)의 위치를 계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조규현과 백승환은 각각 자신의 터렛 위치에서 현재 적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조규현의 좌표 (x1, y1)와 백승환의 좌표 (x2, y2)가 주어지고, 조규현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1과 백승환이 계산한 류재명과의 거리 r2가 주어졌을 때,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좌표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한 줄에 x1, y1, r1, x2, y2, r2가 주어진다. x1, y1, x2, y2는 -10,0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고, r1, r2는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수를 출력한다. 만약 류재명이 있을 수 있는 위치의 개수가 무한대일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T = int(sys.stdin.readline())
res = 0
for i in range(T):
x_1, y_1, r_1, x_2, y_2, r_2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res = abs((x_1 - x_2) ** 2 + (y_1 - y_2) ** 2) ** (1 / 2)
if res == 0 and r_1 == r_2:
print(-1)
elif abs(r_1 + r_2) == res or abs(r_2 - r_1) == res:
print(1)
elif abs(r_1 - r_2) < res < (r_1 + r_2):
print(2)
else:
print(0)
풀이
문제의 핵심은 입력받은 변수 6개를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로 접근해서 판별식으로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핵심이다.
1. 원점이 같은 곳에 있으면 두 선은 만날 수 없는 경우이며, 판별식 값은 D=0이다.
2. 한점에서 만나는 경우 판별식 값은 D>0이다.
3. 만나지 않는 경우 판별식 값은 D <0이 나온다.
이 조건 3개를 if ~ elif 문으로 묶은 후 나머지 값에 들어오지 않는 무한대의 값을 가지는 경우 0을 배정한다.
이 문제는 판별식을 통해서 거리를 구하는 것에 초점이 잡힌 문제임을 기억하자.
오타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얘기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백준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1676][Python] 팩토리얼 0의 개수 (0) | 2023.02.11 |
---|---|
[백준 - 11931, 15688][Python] 수 정렬하기 4, 5 (0) | 2023.02.10 |
[백준 - 1026][Python] 보물 (0) | 2023.02.08 |
[백준 - 11170][Python] 0의 개수 (0) | 2023.02.07 |
[백준 - 5800 ][Python] 성적 통계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