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포스팅은 자바 8버전으로 풀이가 됐습니다.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 10828번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stack[]; // 스택 배열
public static int ptr=0; // 스택 포인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d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 (System.in));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StringTokenizer st;
int command = Integer.parseInt(rd.readLine());
stack = new int[command];
for(int i=0;i<command;i++) {
st = new StringTokenizer(rd.readLine(), " ");
switch(st.nextToken()) {
case "push":
push(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pop":
sb.append(pop()).append('\n');
break;
case "size":
sb.append(size()).append('\n');
break;
case "empty":
sb.append(empty()).append('\n');
break;
case "top":
sb.append(top()).append('\n');
break;
}
}
System.out.println(sb);
}
// 입력
public static void push(int x) {
stack[ptr] = x;
++ptr;
}
// 출력
public static int pop() {
if(ptr==0) {
return -1;
}else {
int res = stack[ptr-1];
ptr--;
return res;
}
}
// 사이즈 확인
public static int size() {
return ptr;
}
// 빈값 확인
public static int empty() {
if(ptr==0) {
return 1;
}else {
return 0;
}
}
// 최상단 값 확인
public static int top() {
if(ptr==0) {
return -1;
}else {
return stack[ptr-1];
}
}
}
|
풀이
문제 해설에 들어가기 전에 append() 함수에 대해서 조금 언급하면 기존 입력된 문자열의 마지막에 문자열을 추가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5개의 명령을 메서드로 선언한다.
[push]와 정숫값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메서드 선언
[pop]으로 push된 값이 있다면 그 값을 출력값이 하나도 없는 경우 -1출력
[size] ptr 스택 포인터의 위치를 반환하여 개수 출력 메서드를 선언
[empty] 스택이 비어있다면 1 아니면 0 판단 메서드 선언
[top] 스택의 가장 위의 값을 출력한다. 만약 정숫값이 없는 경우 -1출력
이렇게 총 5가지의 메서드를 선언하여 구현하면 스택이 실행된다.
자바의 경우에는 이 문제를 java.util.Stack에 있는 스택 라이브러리를 갖고 와서 해결할 수 있다.
오타나 문제가 있는 경우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백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2609][Java]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0) | 2022.05.25 |
---|---|
[백준 - 11653][Java] 소인수분해 (0) | 2022.05.24 |
[백준 - 1152][Java] 단어의 개수 (0) | 2022.05.19 |
[백준 - 2920][Java] 음계 (0) | 2022.05.17 |
[백준 - 1712][Java]손익분기점 (0) | 2022.05.16 |

이 포스팅은 자바 8버전으로 풀이가 됐습니다.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 10828번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stack[]; // 스택 배열
public static int ptr=0; // 스택 포인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rd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 (System.in));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StringTokenizer st;
int command = Integer.parseInt(rd.readLine());
stack = new int[command];
for(int i=0;i<command;i++) {
st = new StringTokenizer(rd.readLine(), " ");
switch(st.nextToken()) {
case "push":
push(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pop":
sb.append(pop()).append('\n');
break;
case "size":
sb.append(size()).append('\n');
break;
case "empty":
sb.append(empty()).append('\n');
break;
case "top":
sb.append(top()).append('\n');
break;
}
}
System.out.println(sb);
}
// 입력
public static void push(int x) {
stack[ptr] = x;
++ptr;
}
// 출력
public static int pop() {
if(ptr==0) {
return -1;
}else {
int res = stack[ptr-1];
ptr--;
return res;
}
}
// 사이즈 확인
public static int size() {
return ptr;
}
// 빈값 확인
public static int empty() {
if(ptr==0) {
return 1;
}else {
return 0;
}
}
// 최상단 값 확인
public static int top() {
if(ptr==0) {
return -1;
}else {
return stack[ptr-1];
}
}
}
|
풀이
문제 해설에 들어가기 전에 append() 함수에 대해서 조금 언급하면 기존 입력된 문자열의 마지막에 문자열을 추가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5개의 명령을 메서드로 선언한다.
[push]와 정숫값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메서드 선언
[pop]으로 push된 값이 있다면 그 값을 출력값이 하나도 없는 경우 -1출력
[size] ptr 스택 포인터의 위치를 반환하여 개수 출력 메서드를 선언
[empty] 스택이 비어있다면 1 아니면 0 판단 메서드 선언
[top] 스택의 가장 위의 값을 출력한다. 만약 정숫값이 없는 경우 -1출력
이렇게 총 5가지의 메서드를 선언하여 구현하면 스택이 실행된다.
자바의 경우에는 이 문제를 java.util.Stack에 있는 스택 라이브러리를 갖고 와서 해결할 수 있다.
오타나 문제가 있는 경우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백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2609][Java]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0) | 2022.05.25 |
---|---|
[백준 - 11653][Java] 소인수분해 (0) | 2022.05.24 |
[백준 - 1152][Java] 단어의 개수 (0) | 2022.05.19 |
[백준 - 2920][Java] 음계 (0) | 2022.05.17 |
[백준 - 1712][Java]손익분기점 (0) | 2022.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