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서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를 사용하여 이미 선언된 변수를 console.log 함수 내부에서 글씨가 함께 묶여서 사용됩니다.
기존 java나 python의 경우 큰따옴표("")로 묶어서 사용했던 것 때문에 인식을 못했습니다.
(본론)
자바스크립트 문법에서는 ${}는 벡틱(``)안에 들어가야 인식할 수 있으며, 따옴표('') 안에서는 인식할 수 없습니다.
벡틱은 QWER키보드 기준으로 1 왼쪽에 존재하는 `키로 Shift를 누르면 ~물결이 되는 키입니다.
따옴표는 자주 사용되는 Enter키 옆에 작성된 '키입니다. Shift를 누르면 "큰따옴표가 되는 키입니다.
다음의 사진을 참조해주세요
1
2
3
4
5
6
7
8
9
10
|
ㅓ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statusCode = 200
})
const PORT = 8090
server.listen(PORT, function () {
console.log('The server is listening at port: ${PORT}.')
})
|
위 내용은 일반 따옴표 ('')로 묶었을 때의 내용입니다. 위 사진과 같이 콘솔 로그 부분에서 PORT {} 값을 받아오지를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벡틱(``)키로 변경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모습을 갖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uRyd/btrtH1xnAgx/9OrnBKK2RTsipiLl8Tpg61/img.png)
1
2
3
4
5
6
7
8
9
10
|
const http = require('http')
const server = http.createServer((req, res) => {
res.statusCode = 200
})
const PORT = 8090
server.listen(PORT, function () {
console.log(`The server is listening at port: ${PORT}.`)
}
|
위의 사진과 같이 따옴표('')로 묶은 http와 다르게 벡틱 키(``)로 묶인 경우 ${} 값을 정상적으로 읽어올 수 있게 됩니다.
(결론)
교육과정 중에서 세미 프로젝트는 sts4에서 서버를 구동해서 무의식 적으로 따옴표, 큰따옴표만 사용했는데 vscode에 넘어오면서 서버 구동 예제 보면서 서버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벡틱(``)의 존재를 자세히 모르고 있다가 결국에는 문제를 찾아내서 쉬운 문제임에도 찾는데 은근 시간이 걸렸기에 '다음에는 이런 실수를 남기지 않아야겠다.' 싶어서 포스팅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javascript에서는 ${}를 사용할 때 따옴표''가 아닌 벡틱``을 사용해주세요!
다음 포스팅 때 뵙겠습니다!
'Javascript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Node.js 이해와 설치 및 실행 (0) | 2022.04.20 |
---|---|
[Node.js] 호이스팅(hoisting) (0) | 2022.03.24 |
[Node.js] 관리자 권한을 위한 npm AdminJs (0) | 2022.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