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네트워크 기초] 자취방, 아파트, 회사 네트워크 구축 차이점

SeongJo 2024. 11. 10. 23:51
반응형

 

안녕하세요, 성조입니다.

오늘 블로그 챌린지에서는 CS(흔히 컴싸(?)) 분야의 네트워크 기초 중 '네트워크 구축 기초' 개념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 합니다.

 

네트워크 구축은 깊이 파고들면 끝이 없어서 책 한권이 아니라 논문까지 갈 수 있을 정도로 끝이 없어서, 이번에는 '이런 개념이 있구나~' 정도로 가볍게 다루고자 해요.

 

조금 더 깊은 내용들은 한 단계씩 천천히 포스팅해서 쌓아보겠습니다! 😊

 


본인도 자취 중이고, 요즘 1인 가구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에 맞춰 이번 포스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본인도 궁금했다)

원룸, 1.5룸, 2룸 같은 자취방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을 알아보려고 한다.

 

 

1. 자취방 네트워크 구축

인터넷 연결 방식

본인도 자취 중이라 잘 알고 있지만, 자취방, 특히 원룸에서는 보통 관리비에 인터넷 요금이 포함되거나(우리 법인 연구실은 LG 인터넷이 독점 계약한 것 같다..), 개인이 직접 인터넷 통신사를 통해 신청해서 연결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벽면에 LAN 포트가 있거나 통신사에서 설치한 공유기 단자를 통해 인터넷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필요한 장비

공유기: 자취방에서는 개인용 공유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Wi-Fi를 사용할 수 있다. 통신사에서 제공한 공유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걸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신호 증폭기 (필요 시, 본인도 방과 와이파이 사이에 신호가 약해서 못 사용했던 적이 있다. 그래서, 간혹 필요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원룸의 경우 일반적으로 공간이 넓지 않아서 Wi-Fi 신호가 잘 닿지만, 벽이나 가구로 인해 신호가 약해질 경우에는 증폭기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보안 설정

비밀번호 변경: 설치된 공유기의 기본 비밀번호는 꼭 변경하는 게 좋다. 기본값을 그대로 두면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위험할 수 있다.

WPA2/WPA3 설정: 공유기 보안 옵션에서 WPA2나 WPA3 보안 방식을 선택해 네트워크 접속 시 암호화된 연결을 제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2. 아파트 환경 네트워크 구축

인터넷 연결 방식

아파트에서는 주로 광랜(Fiber)이나 케이블 인터넷을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통신사와 인터넷 요금을 계약하면 통신사 직원이 직접 방문해 집에 인터넷을 연결해 주고, 아파트에는 보통 각 방에 LAN 포트가 있어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요즘에는 인터넷과 다양한 IOT 상품을 묶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필요한 장비

고성능 공유기: 가정에서는 여러 대의 기기가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에 성능 좋은 공유기를 사용하는 게 좋다. 성능이 좋을수록 여러 기기를 연결해도 속도가 안정적이다. 근데, 벽이 두껍거나 전파가 잘 안터지면 여러 개 설치할 각오를 하는 것이 좋다. 본인 방과 설치된 와이파이 사이의 거리와 벽 문제로 인해 본인은 본가에 가면 방에서 데이터를.. 사용할 때도 있다..

Mesh 네트워크 시스템 (필요 시): 아파트가 넓거나 층이 다른 경우, 공유기 하나만으로는 집 전체에 Wi-Fi 신호가 고르게 퍼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Mesh 네트워크 시스템을 설치하면 Wi-Fi 신호가 집 구석구석까지 고르게 전달돼 방을 이동해도 끊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안 설정

게스트 네트워크 설정: 손님이 Wi-Fi를 사용할 수 있도록 게스트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족이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분리해 안전성을 높인다.

자녀 보호 설정: 아이들이 사용하는 기기에는 자녀 보호 설정을 통해 특정 웹사이트 접근을 제한하거나 사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근데, 잘 사용되지는 않는 것 같다. (고레벨의 설정이 아닌 이상 어떻게든 우회하지 않을까..)

 

3. 회사 네트워크 구축

인터넷 연결 방식

회사는 보통 초고속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고, 큰 기업의 경우 여러 개의 인터넷 회선을 통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한다.

 

필요한 장비

상용 라우터 및 스위치: 회사에서는 많은 직원이 동시에 접속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강력한 상용 라우터를 사용한다. 여러 층이나 넓은 공간에 걸쳐 네트워크가 필요한 경우, 스위치를 추가해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확장할 수 있다.

방화벽 (Firewall): 외부에서 들어오는 접근을 차단하고 악성 트래픽을 방어하기 위해 방화벽 장비가 필요하다.

VPN: 외부에서도 사내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VPN을 통해 안전한 연결을 제공한다. 원격 접속을 할 때도 사용하고, 인증 키를 활용하기도 한다.

기업의 경우 요즘 재택근무를 병행하면서 다양한 보안 장비가 더 있을 것이다. 🤔

 

보안 설정

사용자 권한 관리: 직원별로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부여하고 접근 기록을 모니터링해 보안을 강화한다.

정기적인 보안 점검: 정기적인 네트워크 보안 점검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네트워크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기업은 늘 백업을 기본으로 하자.. 랜섬웨어 조심..)

 


부족한 내용이 많습니다. 잘못 전달된 정보가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 뵙겠습니다!

반응형